"지자체가 주도하고 과기정통부가 도와주는, 새로운 방식의 지역R&D사업 추진 본격화"

-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R&D 지원사업’대상지역 선정 완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역이 스스로 선정ㆍ설계한 자율적 연구개발(이하 ‘R&D’) 수행을 지원함으로써 지자체의 주도적 R&D 경험 축적과 혁신역량 제고를 지원하는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 맞춤형 R&D지원(지역혁신역량강화지원) 사업’의 ‘18년 수행 대상 지자체 선정이 완료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지자체가 지역 내 현안 문제의 과학기술적 해결을 위해 스스로 R&D 과제를 기획ㆍ추진하는 사업으로, 중앙부처가 주도해 R&D 과제를 설계하는 기존 사업들과는 추진체계가 차별화되며,

‘18년 사업 대상 지자체는 사업 공모(1.26.~2.26.) 기간에 과제를 제안한 15개 시ㆍ도 중 민간 전문가 평가(3.8.~3.9.) 및 잠정통보(3.16.), 이의신청(3.19.~3.23.)등 확정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선정된 지자체의 제안 과제는,
(경북)지진지역의 스마트센서기반 건물안전 지능정보 플랫폼 개발
(전북)스마트농생명기반 농민참여형 로컬푸드 지원시스템 구축
(충남)클린 충남을 위한 생활 폐기물의 스마트 순환생태계 구축
(인천)연안 중소형 선박 안전운행 시스템 실증
▲(울산) IOT 기반 유해물질 안전 대응 플랫폼 구축

이 R&D 과제들은 향후 최장 3년 동안 최대 280억원이 투입(국비, 지방비 매칭)되어 추진 될 예정입니다.

‘18년도 사업 규모는 약 94억원(국비 50억원, 지방비 44억원) 수준으로, 4월 중 과기정통부와 5개 지자체간 구체적 사업 협약체결을 시작으로 본격 착수되며,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성과정책관은 “지역이 역동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주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각자 특색에 맞게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혁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자체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그 일환으로 “지역이 주도하는 R&D 사업도 획기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R&D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는 추후 각자 지역 내에서 과제 수행 기관을 공모ㆍ선정하게 되며, 성공적 과제 수행을 위해 각 지역 내 대학, 연구기관, 혁신센터, 사회적 조직 등 다양한 혁신 주체를 참여시킬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